Departmen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Workforce Development 산업교육핵심인재 육성 및 인력개발 연구를 선도합니다.

김진모 교수 연구실

확고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상호 존중과 배려를 통해

산업인력개발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는 연구실천공동체

주요연구분야

  • 산업인력개발 요구분석
  • 산업인력 역량진단
  • 산업교육체계 수립
  • 산업교육 프로그램 개발
  • 산업인력개발 컨설팅

 주요 연구 실적 (최근 5년)

  1) 프로젝트

  •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진로직업교육 혁신 및 지원 방안 연구. (2024). 교육부.
  • 지속가능한 농업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디지털 AI 기반 국제농업교육 모델 개발. (2024). 경기도교육청.
  • 2023년도 NCS 직업기초능력 및 교과 성취기준 연계를 위한 직업기초능력평가 개정 연구(Ⅲ): 의사소통 국어, 영어, 문제해결. (2023). 교육부.
  • 2023 전공별 경력가이드(10종) 내용 조사개발. (2023). 한국고용정보원.
  • 능력중심사회 기반 구현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강화 정책 연구. (2022). 교육부.
  • NCS 직업기초능력 및 교과성취기준 연계를 위한 직업기초능력 평가 개정연구. (2022). 교육부.
  • 2021년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턴트 양성 및 컨설팅을 위한 연수 사업. (2021). 한국직업능력개발원.
  • 미래농업 변화에 대응하는 수요자 맞춤형 농업 R&D 인력개발 전략 수립. (2020). 농촌진흥청.
  • 농업분야 우수 R&D 인력 양성을 위한 농학 비전 인식 및 자긍심 함양 교육프로그램 개발. (2020). 농촌진흥청
  • 교육생태계 변화 속에서 이공계 인재 양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입학제도의 개편방향. (2020). 서울대학교.
  •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통 교과목 개발. (2020). 서울대학교.
  • Hyundai Institute 비전 및 방향성 수립을 위한 사전 조사. (2020). (주)이노션.

  2) 연구실적

  • 김진모, 김은아, 전지연, 박동현. (2024). 국내 근로자의 조직변화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6(2), 1-29.
  • 김진모, 최수정, 하재영, 전지연, 정재희. (2024). 직업계고 학생의 디지털 역량 구명 및 중요도-실행도 차이 분석(IPGA). 직업교육연구, 43(2), 23-49.
  • 김진모, 박지연. (2024). 대기업 생산 엔지니어의 동료 피드백환경, 자기개발 동기, 무형식학습, 직무수행 및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. HRD연구, 26(4), 55-87.
  • 김진모, 박동현. (2024). 대기업 사무직 초기경력자의 주도적 성격과 조직적응의 관계: 역할명확성에 의해 조절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6(3), 101-131.
  • 김진모, 전지연, 박동현, 한수민, 안희경. (2024). 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연구개발직 근로자의 지식공유 활동 예측 요인 분석. HRD연구, 26(3), 75-100.
  • 김진모, 장한별. (2023). 전문대학 신입생의 교수지지, 학업적 자기효능감, 학습몰입 및 전공만족과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. 직업교육연구, 42(6), 25-51.
  • 김진모, 박지연. (2023). 제조업 엔지니어의 무형식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23(16), 789-808.
  • 김진모, 곽진영. (2023). 대학 산학협력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5(4), 97-128.
  • 김진모, 전지연. (2023). 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영향요인. 직업교육연구, 42(2), 53-72.
  • 김진모, 장한별, 손규태. (2022). 성인학습자 대상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22(3), 705-720.
  • 김진모, 이찬, 최수정, 김영흥, 민지식, 송희, 전지연. (2022). 직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미래 중등직업교육 교원 역량에 관한 중요도-실행도 차이 분석(IPGA). 직업교육연구, 41(3), 107-127.
  • 김진모, 윤경신. (2021). 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직무재창조, 개인-직무 적합성, 무형식학습 및 직무도전성의 구조적 관계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3(2), 1-25.
  • 김진모,정철영,임정훈,이영광,김선근,조은혜. (2021). 미래 농업 R&D 인력개발 방향 및 방안에 관한 인식 및 요구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3(2), 51-75.
  • 김진모, 김명일, 손규태. (2021). 농어촌 지역개발 담당자의 역량개발 요구: 한국농어촌공사를 중심으로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3(2), 27-49.
  •  김진모,최수정,김영흥,박자경,박주원. (2021). 포스트코로나 시대 중등직업교육 발전방향 탐색. 대한공업교육학회지, 46(1), 41-60.
  • 김진모,최수정,김영흥,박자경,정지용. (2021). 특성화・마이스터고졸 초기경력자의 후진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. 직업교육연구, 40(4), 83-107.
  • 김진모, 정지용. (2020). 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와 조직적응의 관계: 상사-부하 교환관계(LMX)에 의해 조절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2(4), 23-53.
  • 김진모,최수정,박자경,정지용,홍성표. (2020). 교육성과에 기초한 특성화고등학교 유형화 및 특성 연구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2(1), 121-144.
  • 김진모,박정우. (2020). 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, 팀 학습 행동,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. 중소기업연구, 42(1), 135-165.
  • 김진모,손규태,이은표,정지용,장한별,이화진. (2020). 대학 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-학습자 상호작용, 학습자-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: 학습몰입의 매개효과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2(3), 25-48.
  • 김진모,최수정,박자경,정지용,박주원,홍성표. (2020). 산업체 관계자의 중등단계 직업교육 참여 형태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화 및 특성 분석. 직업교육연구, 39(2), 21-43.
  • 김진모,홍성표,정지용,유현주,박주원,최수정. (2020). 산학겸임교사의 직무 만족도 및 교육요구도 분석: 산학겸임교사와 담당교사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2(1), 43-66.
  • 김진모, 곽진영. (2020). 국가직무능력표준(NCS)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2(3), 129-154.
  • 손규태,김진모,이은표,강혜림. (2020). 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상사의 코칭, 심리적 안전감, 직무자율성 및 직무몰입의 관계: A기업의 사례.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, 52(1), 97-120.

 졸업 후 진로 현황

  • 민간: 기아자동차, 비상교육, 멀티캠퍼스, 삼성경제연구소, 신한금융그룹, 포스코, 현대 NGV, 효성 인재개발원, CJ, IBM 컨설팅, KM플러스 컨설팅, LG, LS, NC소프트, SK이노베이션
  • 공공: EBS, 부산시 인재개발원, 한국직업능력연구원
  • 학계: 신안산대학교, 한국방송통신대학교

 연구실 생활 사진

 Contact

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,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200동 2105, 2106호
02-880-4841,4894
TOP